제 꾀에 넘어간다 뜻
발음:
제 꾀에 (제가) 넘어간다
'남을 속이려고 꾀를 부리다가 도리어 자기가 그 꾀에 속게 된다'는 말.
- 송곳도 끝부터 들어간다: 무슨 일이든 차례가 있어 머리부터 시작한다는 말.
- 섶을 지고 불 속으로 들어간다: 스스로 화를 부르는 짓을 한다는 말. = 화약을 지고 불 속으로 들어간다(⇒ 화약2 (火藥)).
- 화약을 지고 불 속으로 들어간다: = 섶을 지고 불 속으로 들어간다(⇒ 섶3 ).
- 어간: I 어간1 [어:-][명사]시간이나 공간의 사이.I I 어간2 【魚肝】[명사]물고기의 간.I I I 어간3 【御間】 [어:-][명사]《불교》 절의 법당이나 큰 방 한복판에 있는 칸.I V 어간4 【語幹】 [어:-][명사]《언어학》 용언의 중심 관념을 나타내고 문법 관계에 따라 바뀌지 않는 부분. '가다', '좋고'의 '가-', '좋-' 따위. = 씨줄
- 제: I 제1 【除】[명사]《수학》 '제법(除法)'의 준말.I I 제2 【題】[명사]1 '제목(題目)'의 준말.2 '제사(題詞)'의 준말.I I I 제3 【弟】 [제:][명사](글말에서) = 아우1 12.I V 제4 【祭】 [제:][명사]'제사(祭祀)'의 준말.* ~를 지내다.*[참고] -제(祭).V 제5 [명사][의존]'적에'의 예스러운 말.* 고향이 그리
- 어간유: 어간-유【魚肝油】 [-뉴][명사]《약학》 = 간유(肝油).
- 넘어서: 저쪽편에; 외에-저편
- 간다라: 간다라 (힌디어Gandhara)[명사]《지리/지학/땅이름》 고대 인도의 북서부 인더스강 상류 지역. 지금의 파키스탄 페샤와르(Peshawar)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으로, 불교문화와 그리스문화(헬레니즘문화)가 융합하여 이루어진 독특한 문화가 발달된 곳이다.
- 보조어간: 보조-어간【補助語幹】 [보:-어:-][명사]《언어학》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에 들어가 뜻을 더해 주면서 어간의 한 부분이 되는 형태소. '먹었다', '가겠다', '보시다'에서 '-었-', '-겠-', '-시-' 따위. '통일 학교 문법'에서는 이를 '선어말어미'라 한다. = 도움줄기.
- 어간大厅: 어간-대청【어간大廳】 [어:-대:-][명사]방과 방 사이에 있는 대청.
- 어간障지: 어간-장지【어간障지】 [어:-][명사]대청이나 큰 방의 중간을 막아 두 칸으로 나눈 장지.
- 어간대청: 어간-대청【어간大廳】 [어:-대:-][명사]방과 방 사이에 있는 대청.
- 어간마루: 어간-마루 [-어:-][명사]방과 방 사이에 있는 마루.
- 어간장지: 어간-장지【어간障지】 [어:-][명사]대청이나 큰 방의 중간을 막아 두 칸으로 나눈 장지.
- 어간재비: 어간-재비 [어:-][명사]1 사이에 칸막이로 둔 물건.2 '키가 크고 몸집이 큰 사람'을 놀리는 말.